티스토리 뷰

목차


    나의 아저씨
    출처 - tvn 나의 아저씨

    혹시 '인생 드라마'를 꼽으라면 어떤 작품이 떠오르시나요? 많은 이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남기며 종영 후에도 꾸준히 회자되는 드라마, 바로 '나의 아저씨'입니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삶의 무게를 묵묵히 견뎌내는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진정한 '어른'의 의미와 '사람' 사이의 연대에 대한 깊은 고찰을 안겨준 이 작품을 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때로는 쓰리고, 때로는 가슴 저리게 따뜻했던 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볼까요?

    1. 나의 아저씨

    • 제목: 나의 아저씨
    • 장르: 드라마, 휴먼
    • 방영 시기: 2018년 3월 21일 ~ 2018년 5월 17일
    • 회차: 총 16부작
    • 감독: 김원석
    • 작가: 박해영 (또 오해영, 나의 해방일지 작가)
    • 시청 전 꼭 알아두면 좋은 포인트

    : 인물 간의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선과 관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각 인물이 처한 현실적인 문제와 내면의 갈등을 섬세하게 그려냅니다. 따라서 빠른 전개나 자극적인 사건보다는 인물들의 감정 변화를 따라가며 천천히 음미할 때 '나의 아저씨'가 가진 진정한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2. 줄거리

    어딘가 모르게 위태로워 보이는 20대 여성 이지안(이지은 분)과 매일을 묵묵히 버텨내는 40대 건축구조기술사 박동훈(이선균 분)그리고 전혀 다른 세상에 살 것 같은 두 사람이지만, 각자의 삶에 깊숙이 자리한 상처와 외로움은 묘하게 닮아있습니다. 어느 날 잘못 배달된 뇌물 상품권으로 얽히게 된 두 사람, 이 사건을 계기로 서로의 삶에 조금씩 스며들기 시작합니다. 지안은 동훈의 약점을 잡기 위해 그의 휴대폰을 도청하지만, 수화기 너머로 들려오는 그의 고단한 삶의 소리를 들으며 점차 연민과 이해, 그리고 존경의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동훈 역시 차갑고 거칠기만 하던 지안의 모습 뒤에 숨겨진 깊은 상처와 아픔을 발견하고, 그녀를 돕기 위해 손을 내밉니다. '나의 아저씨'는 두 주인공의 만남을 중심으로 그들의 삶에 얽힌 다양한 인물들과의 관계를 그려냅니다. 각자의 아픔과 갈등을 극복해 나가는 본질적인 감정과 삶의 의미를 담아냈습니다. 

    3. 등장인물

    • 박동훈 (이선균 분): "욕망과 양심 사이에서 항상 양심 쪽으로 확 기울어 사는 인간".삼 형제의 둘째이자 건축회사의 부장인 그는 성실하고 책임감 강한 가장이지만, 내면에는 깊은 쓸쓸함을 안고 살아가는 인물입니다. 끝까지 간다라는 영화에서 보여준 연기와 비교해 보면 전혀 다른 사람으로 느껴질 만큼 연기 실력을 제대로 보여주었습니다.
    • 이지안 (이지은 분): "내가 어떤 앤지 알고도 나랑 친할 사람이 있을까?" 여섯 살에 병든 할머니와 단둘이 남아 세상의 차가운 현실을 온몸으로 버텨온 그녀는 누구에게도 마음을 열지 않는 거친 인물입니다. 가수 아이유가 아닌 배우 이지은의 진가를 확인시켜 준 캐릭터로, 공허하고 상처받은 눈빛 연기는 이지안 그 자체였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 박상훈 (박호산 분) & 박기훈 (송새벽 분): 동훈의 형과 동생으로, 유쾌하면서도 짠한 매력을 가진 캐릭터들입니다. 때로는 철없어 보이지만 누구보다 서로를 아끼는 삼 형제의 모습은 드라마에 따뜻한 온기를 더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4. 감상평

    박해영 작가는 인물의 감정선을 섬세하게 따라가며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나의 아저씨' 역시 거창한 사건보다는 인물들의 내면에 집중하며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와 따뜻한 시선을 보여줍니다. "인생도 외력과 내력의 싸움이야. 내력이 쎄면 버티는 거야"라는 동훈의 대사처럼, 드라마는 외부의 시련에 맞서 내면의 힘을 키우고 서로에게 기댈 언덕이 되어주는 것의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감동을 배가시킨 OST 또한 빼놓을 수 없습니다. 손디아의 '어른'은 지치고 힘든 어른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가사로 큰 사랑을 받았고, 개인적으로 1년 이상 매일 들을 정도로 감미로운 노래입니다. 꼭 들어보시길 추천합니다. 이 외에도 정승환의 '보통의 하루', 곽진언의 '내 마음에 비친 내 모습' 등도 인기를 얻었습니다.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힘을 가진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화려한 볼거리나 자극적인 전개는 없지만, 묵묵히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잔잔하지만 위로가 되었습니다. "누가 욕하는 거 들으면 그 사람한테 전달하지 마. 그냥 모른 척해. 어른들은 안 그래. 모르는 척하는 게 의리고 예의야."와 같은 현실적인 명대사들이 기억에 남습니다. 팍팍한 현실에 지쳐 위로가 필요한 분, 진정한 인간관계에 대해 고민하는 분, 그리고 '어른'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되새겨보고 싶은 모든 분들께 이 드라마를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5. 한 줄평

    "괜찮아, 아무것도 아니야." 지친 당신의 어깨를 말없이 토닥여주는 인생 드라마.